age = 28
name = '홍길동'
height = 180.432
weight = 73.2353
print('이름은 %s, 나이는 %d살' %(name, age))
#'이름은 홍길동, 나이는 28살'
print('키는 %f cm' %height)
#'키는 180.432000 cm'
%d = 정수형
%f = 실수형
%s = 문자형
%o = 8진수
%x = 16진수
%% = %문자 입력
- 앞에 'f' 또는 'F'를 붙이고 {} 사이에 변수 또는 리터럴 값을 참조할 수 있는 파이썬 표현식을 사용할 수 있음
age = 28
name = '홍길동'
height = 180.432
weight = 73.2353
print(f'나이는 {age}살, 이름은 {name}')
#'나이는 28살, 이름은 홍길동'
print(f'키는 {height}cm, 몸무게는 {weight}kg')
#'키는 180.432cm, 몸무게는 73.2353kg'
print(f'키는 {height:.2f}cm, 몸무게는 {weight:.2f}kg') #소수점 제한
#'키는 180.43cm, 몸무게는 73.24kg'
{:.2f} 형식으로 데이터의 소수점을 제한할 수 있음
문자열 format() 메서드 사용
- '문자열'.format() 형식으로 사용함
age = 28
name = '홍길동'
height = 180.432
weight = 73.2353
print('이름은 "{}"이고, 나이는 {}살 입니다'.format(name,age))
#'이름은 "홍길동"이고, 나이는 28살 입니다'
print('이름은 "{1}"이고, 나이는 {0}살 입니다'.format(name,age)) #순서를 지정할 수 있음
#'이름은 "홍길동"이고, 나이는 28살 입니다'
print('이름은 "{name_val}"이고, 나이는 {age_val}살 입니다'.format(age_val = age, name_val = name)) #이름을 지정하여 위치를 지정할 수 있음
#'이름은 "홍길동"이고, 나이는 28살 입니다'
- .format() 메서드 딕셔너리 활용
people = {'Jake':24, 'Kate':33, 'Jordy':26}
# 설명 - {0번째 데이터(딕셔너리)의 [Jake]키의 데이터를 :d정수형으로 가져온다}
print('Jake의 나이는 {0[Jake]:d}, Jordy의 나이는 {0[Jordy]:d}, Kate의 나이는 {0[Kate]:d}'.format(people))
#'Jake의 나이는 24, Jordy의 나이는 26, Kate의 나이는 33'
## .format(**테이블명) 형식으로 키워드 인자로 전달하여 사용할 수도 있음
print('Jake의 나이는 {Jake:d}, Jordy의 나이는 {Jordy:d}, Kate의 나이는 {Kate:d}'.format(**people))
#'Jake의 나이는 24, Jordy의 나이는 26, Kate의 나이는 33'